728x90
구석기 시대
-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살았다.
- 사냥과 채집을 하였다.
-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연천 전곡리 유적, 공주 석장리 유적 등이 있다.
- 대표적인 도구로 주먹도끼, 찍개 등을 제작하였다.
- 후기에는 사냥을 위해 슴베찌르개를 처음 제작하였다.
- 계급이 없는 평등한 공동체 생활을 했다.
구석기시대 | |
도구 | 뗀석기(주먹도끼 → 슴베찌르개) |
주거 | 이동 생활 ⇒ 동굴, 바위 그늘, 막집 (연천 전곡리, 공주 석장리 등) |
경제 | 채집, 사냥 |
사회 | 무리 생활, 평등 사회 |
신석기 시대
-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었다.
- 가락바퀴를 이용하여 실을 뽑고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제작했다.
- 정착생활이 시작되면서 움집이 등장했다.
- 서울 암사동 유적, 제주 고산리 유적이 대표적인 신석기 시대 유적이다.
- 간석기를 사용했다.
- 대표적 간석기인 갈돌과 갈판은 씨앗이나 열매의 껍질을 벗기거나 가루를 내는 데 사용되었다.
- 빗살무늬 토기를 만들어 식량을 저장하였다.
- 애니미즘, 토네미즘, 사며니즘 등 영혼 숭배와 같은 원시 신앙이 등장했다.
- 계급이 없는 평등한 공동체 생활을 했다.
신석기시대 | |
도구 | 간석기(갈돌, 갈판) 이른 민무늬 토기, 빗살무늬 토기 가락바퀴, 뼈바늘 |
주거 | 정착 생활 ⇒ 움집 (주로 강가나 바닷가에 지어짐) |
경제 | 농경(밭농사)과 목축의 시작 ⇒ 신석기 혁명 |
사회 | 씨족과 부족 생활, 평등 사회 애니미즘, 샤머니즘, 토테미즘 |
청동기 시대
- 사유 재산과 계급이 발생하였다.
- 권력을 가진 군장(족장)이 등장했다.
-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.
- 대표적인 토기로 미송리식 토기가 있다.
- 지배자의 무덤으로 많은 인력을 동원하여 고인돌을 축조했다.
- 거푸집을 이용해 비파형 동검을 제작했다.
- 대표적 유적 : 부여 송국리, 여주 흔암리
청동기 시대 | |
도구 | 청동기: 무기와 의식용 도구(지배층사용) 반달돌칼(벼농사) 민무늬 토기, 미송리식 토기 비파형 동검, 거친무늬 거울 |
사회 경제 |
빈부 격차 발생, 계급 사회, 군장 출현 |
주거 | 움집(배산임수) |
무덤 양식 | 고인돌, 돌널무덤 |
종교 | 울산 반구대 바위그림 (사냥과 낚시 성공, 다산과 풍요를 기원) 제사용 도구: 청동 방울과 청동 거울 |
철기 시대
- 널무덤과 독무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.
- 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여 농사함
- 명도전, 반량전, 오수전 등 중국 화폐를 사용했다.
- 창원 다호리 유적에서 나온 붓을 통해 중국으로부터 한자가 전래되었음을 알 수 있다.
철기 시대 | |
도구 | 철제 농기구, 철제 무기 세형동검(한반도 내 독자적 청동기 문화), 거푸집, 잔무늬 거울 |
사회 경제 |
중국과 교류: 중국화폐, 한자사용 (명도전, 오수전, 반량전, 창원 다호리 붓) |
주거 | 널무덤과 독무덤 |
728x90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3 / 조선의 성립과 발전(1) (0) | 2023.04.12 |
---|---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2 / 후삼국 ~ 고려 (1) | 2023.04.12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1 / 선사시대 ~ 고대 (1) | 2023.04.12 |
| 한국사 요약 정리 | 고구려, 백제, 가야 (0) | 2023.04.10 |
고조선, 부여, 고구려, 옥저, 동예, 삼한 (0) | 2023.04.08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