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1910년대 - 헌병 경찰 통치(=무단 통치)
- 1910년대에 강압적인 통치를 목적으로 헌병 경찰 제도가 실시되었다.
- 회사 설립 시 총독의 허가를 받도록 하는 회사령이 제정되었다.
- 기한 내에 소유지를 신고하게 하는 토지 조사령을 제정하였다.
- 한국인에게 한해 적용되는 조선 태형령이 공포되었다.
- 범죄 즉결례에 의해 한국인을 처벌하였다.
- 민족 교육을 억압하기 위해 서당 규칙을 제정하였다.
무단 통치시기의 독립운동
- 국내에는 일제의 탄압으로 인해 비밀결사로 있었다.
- 신민회가 일제가 조작한 105인 사건으로 와해되었다.
- 고종의 밀지를 받아 임병찬의 주도로 독립 의군부가 조직되었다.
- 복벽주의를 내세운 독립 의군부가 조직되었다.
- 독립 의군부는 국권 반환 요구서를 조선 총독에게 제출할 것을 계획했다.
- 박상진 등이 주도하여 대한 광복회를 결성했다.
- 대한 광복회는 공화정체의 국민 국가 수립을 지향하였다.
- 국외에는 주로 독립운동 기지가 건설되었다.
- 신민회는 남만주 삼원보에 독립군 양성을 위해 신흥 강습소를 세웠다.
- 간도에서 중광단이 주축이 된 북로군정서가 조직되어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.
- 간도 용정촌에 이상설이 서전서숙을 설립하여 민족 교육을 실시했다.
- 연해주의 한인들이 해조신문을 발간하여 국권 회복에 힘썼다.
- 연해주의 한인들은 권업회를 조직하여 기관지로 권업신문을 발행했다.
- 미주 멕시코에서 숭무학교를 설립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했다.
- 미국 캘리보니아에서 한인 비행 학교를 세워 독립군 비행사를 육성하였다.
- 미국 하와이에서 대조선 국민군단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준비했다.
3·1 운동
- 미국 대통령 윌슨이 제창한 민족 자결주의는 3·1 운동의 배경이 되었다.
- 민족 자결주의 → 대동 단결 선언 → 대한 독립 선언(박은식, 신채호) → 2·8 독립 선언(조선 청년 독립단)
- 3·1운동 당시 민족 대표 33인의 독립 선언서가 발표되었다.
- 3·1운동 전개 과정에서 일제가 제암리 학살 등을 자행하였다.
- 3·1 운동은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에 영향을 주었다.
- 3·1운동은 중국의 5·4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.
- 일제가 이른바 문화 통치를 실시하는 결과를 가져왔다.
대한민국 임시 정부
- 김규식을 파리 강화 회의에 파견해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였다.
- 외교 독립 활동을 위해 구미 위원부를 설치하였다.
- 대한민국 임시 사료 편찬회를 두어 『한일 관계 사료집』을 간행했다.
- 독립운동 자금 마련을 위해 독립공채를 발행하였다.
- 백산상회를 통해 독립운동 자금을 마련하였다.
- 국내 비밀 행정 조직으로 연통제를 두었다.
- 안동의 이륭양행에 교통국을 설치하였다.
- 1923년에 독립운동의 방략을 논의하기 위한 국민대표회의가 개최되었다.
-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침체되자 김구를 단장으로 한 한인 애국단이 조직되어 의거 활동을 전개하였다.
-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이 도쿄에서 일왕이 탄 마차를 향해 폭탄을 던졌다.
- 김구, 이시영 등이 항저우에서 한국 국민당을 창당하였다.
-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충칭에서 삼균주의를 기초로 하는 건국 강령을 선포하였다.
- 충칭에 청착한 후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대일 선전 성명서를 공표하였다.
1920년대 - 보통 경찰 통치(=문화 통치)
- 제2차 조선 교육령을 시행하였다.
- 경성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.
- 쌀을 수탈하기 위해 산미 증식 계획이 실시되었다.
- 치안유지법을 제정하여 민족 운동을 탄압하였다.
문화 통치 시기의 독립운동
- 6.10 만세 운동은 순종의 인산일을 기회로 삼아 추진되었다.
- 6.10 만세 운동은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이 함께 준비하였다.
-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한국인 학생과 일본인 학생 간의 충돌에서 비롯되었다.
- 광주 학생 항일 운동 때 신가회 중앙 본부가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여 지원했다.
- 김원봉이 조직한 의열단은 조선 혁명 선언을 활동 지침으로 삼았다.
- 의열단은 조선 혁명 간부 학교를 세워 군사력을 강화하였다.
- 의열단원 김상옥은 종로 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하였다.
- 김창숙은 동양 척식 주식회사에 폭탄을 투척한 나석주의 의거를 지원하였다.
- 홍범도가 만주에서 대한 독립군 총사령관으로 확약하였다.
- 대한 독립군은 봉오동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.
-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는 대종교 신자들이 조직한 중광단이 주축이 되었다.
- 대한독립군과 북로군정서 등 독립군 연합 부대가 청산리에서 일본군에 큰 승리를 거두었다.
- 봉오동, 청산리 전두에 대한 일본군의 보복으로 간도참변이 발생하였다.
- 청산리 전투 이후 독립군은 전열을 정비하기 위해 자유시로 이동하였다.
- 자유시 참변 이후 만주 지역에 참의부, 정의부, 신민부의 3부가 성립되었다.
- 일제는 중국 군벌과 미쓰야 협정을 체결하여 3부를 탄압하였다.
1930년대 - 민족 말살 통치
- 내선일체를 강조한 황국 신민 서사의 암송이 강요되었다.
- 신사 참배를 강제하여 학생들이 동원되었다.
- 농민의 자력갱생을 내세운 농촌 진흥 운동을 실시했다.
- 1938년 국가 총동원령을 제정하여 인력과 물자를 강제 동원하였다.
- 식량 배급 및 미곡 공출 제도를 시행했다.
-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을 통해 독립운동을 탄압하였다.
- 국민 징용령, 육군 특별 지원병제, 징병제를 실시했다.
- 여자 정신 근로령을 공포하고, 일부는 위안부로 강제 동원하였다.
민족 말살 통시 시기의 독립운동
- 조선 혁명군은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, 흥경성 전투를 이끌었다.
- 한국 독립군은 북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 독립당의 산하 부대였다.
- 한국 독립군은 중국호로군과 협력하여 쌍성보 전투에서 승리하였다.
- 지청천이 이끄는 한국 독립군은 만주 사변 이후 대전자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.
- 조선 의용대는 중국 관내에서 결성된 최초의 한인 무장 부대였다.
- 조선 의용군은 중국 팔로군과 함께 호가장 전투에서 활약하였다.
- 충칭에서 지청천을 총사령관으로 하는 한국광복군이 창설되었다.
- 한국광복군은 국내 정진군을 조직하여 국내 진공 작전을 추진하였다.
- 한국 광복군은 연합군과 함께 인도, 미얀마 전선에서 활동하였다.
- 한국 광복군은 미국 전략 정보국(OSS)의 지원을 받아 국내 정진군을 편성하였다.
- 스탈린에 의해 많은 연해주의 한인이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되었다.
일제 강점기 사회, 경제
- 백정들은 조선 형평사를 조직하여 사회적 차별에 맞섰다.
- 사회주의 세력의 활동 방향을 밝힌 정우회 선언을 계기로 신간회가 결성되었다.
- 신간회는 진상 조사단을 파견하여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지원하였다.
- 근우회는 민족주의 계열과 사회주의 계열의 여성들이 연합하여 여성의 단결과 지위 향상을 목표로 하였다.
- 천도교는 『어린이』 등의 잡지를 발간하여 소년 운동을 주도하였다.
- 물산 장려 운동은 일제의 회사령 폐지에 영향을 받았다.
- 물산 장려 운동은 조만식 등의 주도로 평양에서 시작되었다.
- 물산 장려 운동 때 자작회, 토산 애용 부인회 등의 단체가 활동했다.
- 1920년대에 이상재 등의 주도로 민립 대학 설립 운동을 전개하였다.
- 원산 총파업은 라이징 선 석유 회사 감독의 조선인 구타 사건을 계기로 시작되었다.
- 원산 총파업은 일본, 프랑스 등의 노동 단체로부터 격려 전문을 받았다.
- 평양 을밀대 지붕에서 고무 공장 노동자 강주룡이 임금 삭감에 저항하여 농성을 벌였다.
일제 강점기의 문화
- 조선어학회는 우리말 큰사전 편찬 사업을 추진하였다.
- 조선어학회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과 표준어를 제정하였다.
- 박은식은 일본의 침략 과정을 서술한 『한국통사』를 저술하였다.
- 박은식은 『한국독립운동지혈사』에서 독립 투쟁을 서술하였다.
- 신채호는 고대사 연구를 바탕으로 『조선상고사』를 저술하였다.
- 신채호는 『독사신론』을 저술하여 민족주의 사학의 기반을 마련하였다.
- 백남운은 『조선사회경제사』에서 식민주의 사학의 정체성 이론을 반박하였다.
- 이병도 등은 진단학회를 설립하여 실증주의 사학을 발전시켰다.
- 정인보는 민족의 얼을 강조하고 조선학 운동을 추진하였다.
- 한용운은 일제의 통제에 맞서 사찰령 폐지 운동을 벌였다.
- 천도교는 만세보, 천주교는 경향신문을 발행하여 민중 계몽에 앞장섰다.
- 천도교는 『개벽』, 『신여성』등의 잡지를 간행했다.
- 대종교는 중광단, 천주교는 의민단을 조직하여 항일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.
- 원불교는 박중빈을 중심으로 새 생활 운동을 추진하였다.
- 윤동주는 '별 헤는 밤', '참회록' 등의 시를 남겼다.
- 나운규는 영화 '아리랑'의 제작, 감독, 주연을 맡았다.
728x90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7 / 대한민국의 성립과 발전 (0) | 2023.04.14 |
---|---|
국권 피탈 과정 (1) | 2023.04.13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5 / 근대 국가 수립 운동 (0) | 2023.04.13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4 / 조선의 성립과 발전(2) (0) | 2023.04.12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3 / 조선의 성립과 발전(1) (0) | 2023.04.12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