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한국사

국권 피탈 과정

by _Ahmooooo 2023. 4. 13.
728x90

1904년

02.08. 러일 전쟁 발발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02.23. 한일 의정서 

  • 대한 제국의 영토 보전과 황실의 안녕 보증
  • 외교권 제한, 주요 군사 요지 점령, 시정 개선에 대한 충고를 받아들일 것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08월 제1차 한일 협약 : 고문 정치

  • 외교 고문 스티븐스, 재정 고문 메가타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1904년

(7월 : 가쓰라 · 태프트 밀약 → 8월 : 제2차 영일 동맹 → 9월 : 포츠머스 강화 조약)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11월 제2차 한일 협약(을사늑약, 을사 5 조약)

  • 보호정치 → 통감부 설치(초대 통감:이토  히로부미)
  • 외교권(자주권) 박탈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12월 미국 특사

  • 헐버트(거중조정) → 외면(가쓰라 · 태프트 밀약)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1907년

4월 헤이그 특사 파견

  • 헐버트, 이준, 이상설, 이위종
  • 일본, 영국의 방해, 을사늑약에 의한 외교권 박탈로 실패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07.20. 고종 강제 퇴위

  • 헤이그 특사 파견 구실로 고종 강제 퇴위 당함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07.24. 한일 신협약(정미 7 조약)

  • 차관 정치
  • 일본인 차관 임명
  • 통감부의 내정 간섭 심화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07.31. 군대 해산(↔정미의병)

  • 순종 황제의 군대 해산 권고 조칙으로 군대 해산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08.02.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동, 연호를 '융희'로 고침

              ↓

11.13. 순종의 처소를 창덕궁으로 옮김

              ↓

1908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전명운, 장인환의  스티븐스 사살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1909년 

7월 기유각서

  • 사법권 박탈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9월 간도 협약

  • 청-일 → 간도 상실

              ↓

 

10.26. 만주 하얼빈에서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

              ↓

12월 이재명의 이완용 저격 시도

              ↓

1910년

6월 경찰권 박탈 

  • → 일본 헌병 경찰 파견

              ↓

08.29. 한일 병합 조약(경술국치)

  • 통감 데라우치
  • 총리대신 이완용
  • 총독부 설치(초대 총독은 데라우치)

 

 

 

혼자 공부하면서 복습하는 겸 작성하는 글이기 때문에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!

 

 

728x90
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