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904년
02.08. 러일 전쟁 발발
↓
02.23. 한일 의정서
- 대한 제국의 영토 보전과 황실의 안녕 보증
- 외교권 제한, 주요 군사 요지 점령, 시정 개선에 대한 충고를 받아들일 것
↓
08월 제1차 한일 협약 : 고문 정치
- 외교 고문 스티븐스, 재정 고문 메가타
↓
1904년
(7월 : 가쓰라 · 태프트 밀약 → 8월 : 제2차 영일 동맹 → 9월 : 포츠머스 강화 조약)
↓
11월 제2차 한일 협약(을사늑약, 을사 5 조약)
- 보호정치 → 통감부 설치(초대 통감:이토 히로부미)
- 외교권(자주권) 박탈
↓
12월 미국 특사
- 헐버트(거중조정) → 외면(가쓰라 · 태프트 밀약)
↓
1907년
4월 헤이그 특사 파견
- 헐버트, 이준, 이상설, 이위종
- 일본, 영국의 방해, 을사늑약에 의한 외교권 박탈로 실패
↓
07.20. 고종 강제 퇴위
- 헤이그 특사 파견 구실로 고종 강제 퇴위 당함
↓
07.24. 한일 신협약(정미 7 조약)
- 차관 정치
- 일본인 차관 임명
- 통감부의 내정 간섭 심화
↓
07.31. 군대 해산(↔정미의병)
- 순종 황제의 군대 해산 권고 조칙으로 군대 해산
↓
08.02. 경운궁에서 덕수궁으로 이동, 연호를 '융희'로 고침
↓
11.13. 순종의 처소를 창덕궁으로 옮김
↓
1908년 3월 샌프란시스코에서 전명운, 장인환의 스티븐스 사살
↓
1909년
7월 기유각서
- 사법권 박탈
↓
9월 간도 협약
- 청-일 → 간도 상실
↓
10.26. 만주 하얼빈에서 안중근의 이토 히로부미 사살
↓
12월 이재명의 이완용 저격 시도
↓
1910년
6월 경찰권 박탈
- → 일본 헌병 경찰 파견
↓
08.29. 한일 병합 조약(경술국치)
- 통감 데라우치
- 총리대신 이완용
- 총독부 설치(초대 총독은 데라우치)
혼자 공부하면서 복습하는 겸 작성하는 글이기 때문에 잘못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!
'한국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7 / 대한민국의 성립과 발전 (0) | 2023.04.14 |
---|---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6 / 민족 운동의 전개 (0) | 2023.04.14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5 / 근대 국가 수립 운동 (0) | 2023.04.13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 4 / 조선의 성립과 발전(2) (0) | 2023.04.12 |
한국사능력검정시험 기출 개념 정리3 / 조선의 성립과 발전(1) (0) | 2023.04.12 |
댓글